문재인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과 회담중에, 6.25 전쟁영웅, Ralph Puckett, 예비역 대령의 미군최고의 훈장 수여식에, 원했던 원하지 않았던 참석하고, 전쟁영웅에 대한 고마움을 담은 답사까지 했었다. 우방국 미국의 옛노병에게 한국의 오늘이 있게한 초석을 다진 역전의 용사에게 우리 국민들을 대신하여 감사의 우정을 전한 그 행동에 이의를 달 국민들은 하나도 없었을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중에 미국 최고의 훈장을,94세의 Ralph 예비역 대령을 백악관으로 모셔와 명예훈장을 수여하고, 직접 옛전우의 목에 훈장을 걸어주는 장면은, 그래서 미군들은 군복무를 평생의 자랑으로 여기면서 여생을 즐긴다는 그증거를 확실히 봤었다.
그분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별을 못달고, 육군 대령으로 제대 했는데, 백악관 보좌관들이, Ralph 옛노병에게 명예최고훈장을 수여할려고, 백악관에 초청하고져 합니다라고 연락을 취했을때, 6.25한국전 용사, Ralph Puckett대령은, 시큰둥하게 "훈장을 줄려면 그냥 집으로 보내다오, 백악관에 노구를 끌고 가는것 별로 달갑지 않다"라는 식으로 대꾸를 했었는데, 보좌관의 설득으로 백악관에 와서, 대통령으로 부터 미국의 최고의 명예훈장을 하사 받았던 것이다.
6.25한국전에서 미군을 비롯한, 한국전 참전 용사들중에서 최고의 전쟁 영웅으로 칭송 받고, 작년에 하늘나라로 떠난, 우리의 전쟁영웅, 백선엽장군은, 문재인과 그찌리시 민주당 패거리들의 역적행위로,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에 모시지 못하고, 돌고 돌려서, 우리의 영웅을 헌신짝 취급하듯이, 겨우 대전 현충원으로 내몰았던, 그순간을 이번 Ralph Puckett 대령에 감사의 답사를 하면서, 단 1초만이라도 생각해 보셨기를 바랬다.
Ralph Puckett대령의 6.25전쟁의 영웅적 용맹은, 당시 미육군 소위, 중위의 직책으로 소대를 지휘했었을때, 우리의 세계적 영웅 백선엽장군은 별하나의 육군준장으로, 1사단을 지휘 하면서, 당시 연합군 사령관이었던 General, McArthur장군과 함께 전쟁을 지휘했었던, 진정한 한국적 전쟁 영웅이었었다.
대전 현충원으로 백선엽장군 묘소를 찾아가는 안내판이 현충원안에 세워졌었는데, 얼마전에는 아예 안내판을 빼서 없앴다는 뉴스도 봤었다. 이렇게 전쟁영웅을 홀대하는 기막힌, 문재인 대통령을 포함한 정부고위직들의 역적행위는 절대로 가볍게 넘길일이 아니다. 육군소위로서의 전쟁영웅과, 육군준장으로 일개사단을 지휘하면서, 연합군 사령관, McArthur장군과 함께 전쟁을 지휘하여, 한국전을 승리로 이끈 백선엽장군의 공적은 하늘과 땅차이로 격이 다르다. 한쪽은 예비역 대령, 백선엽장군은 예비역 4성장군.
왜 2차대전과 한국전에 참전했었던 전쟁영웅중 최고의 참군인으로 기억되고 있는 백선엽 장군이, 문재인과 그찌라시들로 부터는 홀대를 당하고, 영원히 쉬게될 묘지, 한평도 편안하게 만들어 주지 못하고, 서울에서 200키로미터 떨어져 있는 대전현충원으로 내밀었었는냐 말이다. 동작동 현충원에 전쟁영웅 모실 묘자리가 더이상 없어서였다면, 어느 누구도 대전으로 모셨다고 이유를 들어 비난할 국민들은 없었을 것이다.
https://www.chosun.com/politics/blue_house/2021/05/27/46LKXGM2YBAEBJT37IIJ4THTTM/
문재인의 두얼굴, 그리고 친중 친북행위 정치가, 한국전 전쟁 영웅에 까지 그마수의 손길을 뻗쳤던, 망국적 행위에, 치를 떨지 않을수 없다. 양심이 있었다면, 정상회담과는 관계가 없다는 이유를 들어, 명예훈장식에 참석하지 않았었다면, 문재인 대통령의 친중, 친북정책의 일관성에 오히려 찬사를 보냈었을 것이다.
그래서 바이든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 잘 끝마쳤다고 한국의 주요언론은 대서특필하고 있지만, 이런점에서는 한국의 언론들의 속창아리없는 칭찬 일변도의 태도에 덩달아 실망만 클뿐이다.
국민들의 눈과 귀가 주요언론의 한미정상회담에 몰려있는 그시간에 이루어진 문재인 대통령의 두얼굴을 확실히 보여준 명예훈장에 대한 답사를 보도하면서, 우리의 전쟁영웅, 백선엽장군의 장례식과 국립현충원 묘지배당에서 보여준 더러운 행위에 대한 해설기사 한줄 없었느냐다. 이게 나라냐?
이런짖을 아무렇치도않게 해대는, 천안함 순직용사들을 포함한 수많은 역전의 용사들에 대한 문재인과 정부의 대접을 보면서, 그어느 누가 목숨바쳐 나라를 지키겠다는 다짐을 하겠는가? 지금 대한민국에서 정치적으로 힘깨나 쓰는 자들의 자식새끼들이 정상적으로 군복무를 마친 비율이 내가 알기로는 50%도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외무장관 정의용의 아들놈, 또 추한18년의 아들놈 군복무 등등....
지금이라도 한국의 주요언론들은 한국전 영웅들에 대한 재조명을 해서, 이번 Ralph Puckett예비역 대령의 최고의 훈장수여식을 조명하면서, 반성을 하는 계기로 삼았으면 한다. 정말로....
“갑시다, 친구.”(Come on bro, let’s go)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21일 오후(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 공동기자회견이 끝날 때쯤 문 대통령에게 손짓을 하며 이렇게 말했다. 미국 폭스뉴스 기자가 미확인비행현상(UAP·일반적으로 UFO) 관련 질문을 던지자 “그(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에게 다시 물어보겠다”고 답한 뒤였다. 바이든 대통령이 문 대통령에게 연단을 함께 내려가자며 사용한 표현은 친밀한 관계에서 사용하는 호칭인 “브로”(bro)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 기간 동안 손님인 문 대통령을 향해 친근감을 표현하곤 했다. 정상회담 직전에 열린 한국전 참전 용사 랄프 퍼켓 주니어 예비역 대령의 명예훈장 수여식에서도 그런 모습이 보였다. 바이든 대통령이 랄프 대령에게 훈장을 수여한 뒤 기념촬영이 이어졌다. 당초 미국 측 의전 계획에는 랄프 대령과 그의 가족, 그리고 바이든 대통령만 촬영 명단에 있었다.
랄프 대령 가족 등이 모두 모인 뒤 바이든 대통령은 주위를 둘러봤다. 문 대통령과 눈이 마주치자 “문 대통령도 같이 서주겠어요?”(Mr. President, do you mind standing here too?)라며 기념촬영 자리를 마련해줬다. 문 대통령이 머뭇거리자 바이든 대통령은 다시 손짓을 하며 재촉했다. 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랄프 대령 양 옆에서 무릎을 굽혀 앉자 참석자들 사이에서 박수가 터졌다.
당초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국 정상의 이른바 ‘케미’(chemistry·호흡)를 기대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바이든 대통령이 지한파로 분류되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도 인연이 있어 두 정상이 이번 만남에서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였다. 또 한·미 양국 집권여당이 모두 민주당인 것은 20년 만이라는 점, 두 정상이 가톨릭 신자라는 점도 기대를 높이는 이유였다.
실제로 회담이 끝난 뒤 문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과의 ‘케미’에 만족을 표시했다. 문 대통령은 23일(한국시간) 워싱턴DC에서 조지아주 애틀랜타로 이동하면서 페이스북 등에 “최고의 회담”이었다며 “(바이든 대통령 등은) 모두 쾌활하고, 유머있고, 사람을 편하게 대해주는 분들”이라고 썼다.
두 정상의 친밀감은 회담 시간에서 간접적으로 드러났다. 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 둘만 참석하는 단독회담은 37분간 진행됐다. 당초 예정은 20분이었는데, 훌쩍 넘겼다. 바이든 대통령은 “단독회담에서 참모진이 계속 ‘시간이 지났다’고 전했다. 하지만 난 회담이 무척 즐거웠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바이든 대통령이 반도체 투자, 중국 견제 등 한국 측으로부터 얻고 싶은 성과가 많았다는 해석도 나온다.
단독회담은 오찬을 겸해 진행됐는데 게살을 이용한 음식인 메릴랜드 크랩 케이크가 식탁에 올랐다. “미국 측은 해산물을 좋아하는 문 대통령의 식성을 고려했다”고 정만호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설명했다. 지난달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 방미 때 미·일 정상의 오찬 메뉴는 햄버거였다. 둘은 2m 정도 떨어져 앉았다.
한·미 정상이 스가 총리 방미 때와 달리 밀접한 장면을 많이 보여줄 수 있었던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영향이 크다. 지난달 미·일 정상회담 때까지만 해도 미국 내 코로나19 공포감이 커 양국 정상 동선에 제약이 컸다. 바이든 대통령은 마스크를 두 겹으로 쓰고 스가 총리와 악수도 삼갔다.
하지만 최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백신 접종자의 실내외 마스크 미착용 허용지침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한·미 정상은 마스크를 벗은 채로 회담을 진행했고, 악수 등을 하며 친밀한 모습을 보여줬다. 문 대통령은 페이스북 등에 “코로나 이후 최초의 해외 순방이고 대면 회담이었던데다, 최초의 노마스크 회담이어서 더욱 기분이 좋았다”고 썼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