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김정은이, 북한 정권을 휘두르는 실권을 잡은후, 그가 남한의 연평도 포격사건을 비롯한 만행과 그의 심복으로 부려먹었던 사람들이 사용가치가 떨어질때면, 또 다른 억지 이유를 달아 파리목숨 죽이듯, 공개 처형한, 광폭한 짖들을 보면, 역사에서 배운 연산군의 광폭은 차라리 얌전한 투정을 부렸다고 볼수 있을 정도로, 살인마의 전횡을 보여준다.
그의 고모부이자, 정은이가 집권후 안정을 취할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여 보좌했던, 장성택을 2013년 어느날 최고회의 진행중에 체포하여 공개 처형한것을 시작으로, 내각의 부수상,김영진을 재교육후 공개처형하고, 다른 2명의 고위직도 재교육 시켰다고한다.
평화스럽던 연평도에 선전포고도 없이 포를 쏘아 민간인을 살상하고 해병대 병사들을 살상한 작전을 지휘한, 대남선전부장 김영철도 최근에 숙청됐다가 지난 8월중순경에 복권됐는데, 대남공작부대를 맡아 뚱땡이 정은이에게 잘보일려고 또 남한에 어떤 도발을 해야할지 전전긍긍인데, 구케의원들은 밥그릇 싸움만 하고 있고. 확인된것만 해도 10명이 훨씬 넘는 고위직 충성참모들이 최근에 처형당했다고 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러한 김정은의 살인마적 행위를 청취하면서 " Reign of Terror"라고 표현했다.
박대통령은 야당시절 이북을 방문하여 김정일과 만난 경험이 있기에 북괴의 통치스타일과 호시탐탐 남한의 적화 통일을 노리는 그들의 헛된 망상을 잘알기에, 그들이의 예기치 않은 공격에 맞서기위해 THAAD 설치를 국가 사업으로 추진 하는데, 종북 야당 찌라시들과 일부 좌파 찌라시들은 입에 거품을 품고 사람죽이는 짖이고, 중국을 자극하는 짖이라고 억지를 부리고 있는, 반역자들이 득시글한 한국의 현실이 애처롭기만 하다.
대한민국 사람들이 다 사용하고 있는 Cell Phone에서 나오는 전자파의 양은, 그들이 주장하는 THAAD설비에서 나오는 전자파양보다 수천배 많다. 그런데 참외는 더 잘자라고 소비량은 더 늘었다. THAAD가 설치되는 곳에서 자란 참외는 왜 못먹는다는 논리냐? 박대통령의 통치 스타일이 마음에 안들면, 열심히 건전한 공약을 내세워 이다음 선거에서 정권 잡으면 될것 아닌가. 삼척동자도 비웃을 엉터리 억지논리 그만펴고 말이다.
이번 김영진 처형에 대한 통일부의 발표는 이례적이다. 국방장관 현영철을 평양에서 대공포를 쏘아 처형됐다고 발표할때는, 국회에서 한정된 정치꾼들만이 모인 회동에서 비공개 발표를 했던때와는 대조적이다. 황민 전 농업상과 이영철을 포함한 교육성의 고위급 실세등이 지난 8월에 공개처형될때도 김정은이는 대공포를 쏘았었다. 비행기를 때려잡는 포를, 사람처형하는데 사용하는 그 잔인함에 그의 할아버지 김일성이도 지하에서 한탄할 일이다.
최근의 공개 처형은, 연쇄적으로 고위급 외교관들이 탈북한데 대해, 김정은이 실권장악을 더 튼튼히 하기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태영호는 영국 런던주재 북괴 대사관의 제 2인자 였으며, 이러한 고위급 외교관들의 탈북을 보면서, 수많은 그의 측근들을 처형 또는 숙청하는것은, 김정은의 살인정권의 안정을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이러한 김정은 살인마의 잔악상을 보고 들으면서도, 야당의 대표 추잡한 여인은 "참외는 죄가없다"라는 한심한 잡소리나 하면서 국민들을 선동하는것도 모자라, 대통령의 통치권에 해당되는 보좌관 임명과 또는 해임을 두고, '국정이 흔들린다'는등의 모함은 이제는 하지 말아야 한다. 경제규모 세계10대대 국가에 자리하고 있는 대한민국이 그정도로 허약한 국가냐? 툭하면 "국민들 시선.... 어쩌고" 하는데, 함부로 국민들 이름 팔아먹지 말라고 엄중히 경고한다. 국민들이 "추잡한" 여인의 놀이개감이냐? 야당찌라시들의 인기몰이를 위한 헛튼 잡소리 신물난다.
나는 3년간 최고 전방에서 흔히들 다 가는 연차휴가( Annual vacation)도 2번 밖에 사용하고 만기제대한 Veteran의 한명이다. 당시는 나라가 어려워 M1 소총으로 추운겨울 보초서면서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도록 일조를 담당했던 사람이기에, 조국 대한민국의 돌아가는 꼴을 보면서, 국민들이 너무나 빨리 배가 터지도록 잘살게 기초를 만들어 준것이 배탈이 나게한 결과를 초래한 Paranoid를 양산한게 아닐까라고.....
North Korea Has Executed a Deputy Premier, Seoul Reports
Photo
Kim Jong-un, the North Korean leader, in a picture issued by his government’s Korean Central News Agency.CreditKCNA, via Agence France-Presse — Getty Images
SEOUL, South Korea — The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has executed his deputy premier for education and purged two other senior officials, sending them to re-education camp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aid on Wednesday.
Jeong Joon-hee, a spokesman for the South’s Unification Ministry, said at a news briefing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d used various means to confirm the execution of Kim Yong-jin, the deputy premier, and the purge of Kim Yong-chol, the head of the United Front Department of the ruling Workers’ Party, which handles relations with, as well as spying operations against, South Korea. Choe Hui, a deputy chief of the party’s Propaganda and Agitation Department, was also banished for re-education, Mr. Jeong said.
Mr. Jeong provided no further details, including when the reported punishments were believed to have taken place or how South Korea had learned of them. But in a later briefing, a senior Unification Ministry official, who spoke on the condition of anonymity to discuss intelligence matters, said that Kim Jong-un had found fault with the 63-year-old deputy premier’s “disrespectful posture” during a meeting that Mr. Kim oversaw in late June.
A subsequent investigation found the deputy premier to be an “anti-party reactionary” guilty of “modern-day factionalism,” and he was executed by firing squad in July, the official said.
Photo
Jeong Joon-hee, a spokesman for South Korea’s Unification Ministry, said that the government had used various means to confirm the execution of the deputy premier for education.CreditKim Hyun-Tae/Yonhap, via Associated Press
Kim Yong-jin would be the highest-ranking official known to have been executed since 2013, when North Korea confirmed in a rare announcement that Kim Jong-un had executed his own uncle and No. 2 official, Jang Song-thaek, on charges of factionalism, corruption and plotting to overthrow his government.
The ministry official who spoke on the condition of anonymity said that Kim Yong-chol, the leader of the United Front Department, had spent a month at a re-education camp on suspicion of abuse of power and that he had been released in mid-August.
Kim Yong-chol is seen as a hard-liner by South Korean officials. He was accused of helping orchestrate recent armed provocations by the North along the inter-Korean border, including an artillery barrage carried out against a South Korean island in 2010, when he was the army’s intelligence chief. The Unification Ministry official said Mr. Kim would now need to prove his loyalty, which the official said raised the possibility that the North could take more aggressive actions toward South Korea.
Since taking power in 2011, Kim Jong-un has frequently reshuffled the party and military elites as he has consolidated his authority in North Korea, which his family has ruled for seven decades. Mr. Kim has also executed dozens of top officials in what President Park Geun-hye of South Korea has called a “reign of terror,” according to South Korean intelligence officials.
It remains difficult to independently verify reports of executions and purgesin the secretive North. North Korea rarely announces them.
It was unusual for a South Korean government spokesman to make them public in an open news briefing, though intelligence officials have often briefed lawmakers in closed-door parliamentary sessions. In one such briefing last year, lawmakers were told that Gen. Hyon Yong-chol, the defense minister, had been executed with an antiaircraft gun in Pyongyang, the North’s capital, after dozing off during military events and second-guessing Mr. Kim’s orders.
Mr. Jeong, the government spokesman, said that he was responding to recent reports in the South Korean news media. On Tuesday, the mass-circulation daily JoongAng Ilbo, citing an anonymous source, reported that Hwang Min, a former North Korean agriculture minister, and Ri Yong-jin, a senior Education Ministry official, had been executed with antiaircraft gunsin early August. The newspaper reported that Mr. Ri had been arrested after dozing off during a meeting supervised by Mr. Kim and that Mr. Hwang had proposed a policy that was deemed to represent a challenge to Mr. Kim’s leadership.
Mr. Jeong did not comment on the fates of those two officials in his briefing on Wednesday.
JoongAng Ilbo reported that the officials’ reported executions might have been aimed at tightening Mr. Kim’s control after a senior North Korean diplomat’s recent defection to the South. South Korea announced this month that Thae Yong-ho, the No. 2 in the North Korean Embassy in London, had defected to Seoul with his family.
South Korean officials often cite such high-level defections, and purges like those announced Wednesday, as potential sources of instability in Mr. Kim’s totalitarian regime. But some analysts dispute such conclusions.
Purges and executions remain a key feature of political life in the North, said Cheong Seong-chang, a senior analyst at the Sejong Institute, a South Korean research organization. But he said that such persecutions, while barbaric, had become less frequent and “relatively restrained” under Kim Jong-un. Mr. Kim’s father, Kim Jong-il, was estimated to have purged more than 2,000 officials from 1994 to 2000, he said.
"김제동" 생긴모습도 꼭 김정은 꼬봉처럼, 덜떨어진 자를 성스러운 명동 성당의 Main Hall 강단에 세워놓고,
대한민국의 생존이 걸린 "사드" 설치 반대를 하게 한 명동 성당의 주교는 하나님이 좋아하는 색갈의 인간일까?
언론의 책임이 너무나 크다고 생각된다. 일개 3류 코메디언이 대중앞에서 횡설수설하는것을 뉴스라고
보도하는 그들의 보도자세가 대한민국의 빨갛게 물들게 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Freedom, Democracy는 그렇게 방종하고, 국가존립에 위해를 끼치는 언행을 마음데로 지껄이게 놔 두는것은 절대 아니다. 법에 정해진 공권력을 사용해서 국가 존립에 해를 끼치는자들을 다 색출해서 적법조치를 취하라. 추잡스럽게 생긴 코메디언 김제동, 사이비천주교 신부들, 여의도에 진치고 있는 흡혈귀같은 정치꾼들, 특히 야당의원들이 김정은 Regime을 헐뜯는것 들어본일 있나?
Freedom is not free. We have to build power to keep freedom. A comedian, Kim Jaedong is enjoying freedom,
heckling and destroying Republic of Korea's democracy and security which we as nation have to keep on eye
on to maintain our freedom from suckers like Kim Jaedong and camouflaged Catholic fathers who have enjoyed
their freedom under the umbrella of Republic of Korea, not from Kim Jungun's regime. Dogs are never betray
their owners but those guys mentioned above have betrayed their motherland, Republic of Korea. Who has more
value between those guys and dogs? Figuring out of this question is very clear.
아래에 서석구변호사의 절규를 옮겨 놨다. 지금도 늦이 않았으니, 귀가 있으면 경청하기를 바라면서.
사드반대를 위한 정치투쟁으로 변질된 명동성당에 순교자들은 통곡한다
서석구. 변호사. 대한민국수호천주교인모임 상임대표.한미우호증진협의회 대표.
공동대표 : 나라사랑종교단체협의회. 대한민국정체성수호포럼.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국민운동.
헌법수호를 위한 국민운동본부. WCC 반대 국민.의 소리. 동.성애 반대 100만인 서명운동본부. 공동
집행위원장 : 종북세력청산범국민협의회 상임고문 : 국회개혁범국민운동연합 고문 : 구국300정의군결사
대.국민재난안전교육. 기독교유권자연대. 남침땅굴을 찾는 사람들. 대한민국어버이연합. 북한민주화
중국은 영토가 넓기도하지만, 중국의 인구는 남,북 아메리카의 전체 인구를 합친것 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어, 예기치 못하는 여러 사건들이 즐비하게 일어나고, 또한 서구사회에서는 상상도 못하는 신비스러운 역사적 유물들이 즐비하다.
영혼 결혼식의 내용을 살펴보면, 내가 어렸을적에 내가 살고 있던 시골(전라북도 정읍군)에서도 그러한 내세의 얘기와 영혼 결혼식에 대해서 동네 어른들에게서 흔히 들어왔었던 내용으로 이기사를 읽으면서 기억들이 새롭게 되살아 난다. 내고향은 내가 고등학교 다닐때까지도 전기 대신에 호롱불을 밝혔고, 장날 읍에 장보러 갈때도 요즘처럼 자동차 또는 뻐스가 없었기에 약 5킬로 길을 걸어서 가야하는 힘든, 문명과는 완전히 담을 쌓고 살아가는 때였었다.
역사를 보면 한반도 조선은 중국의 속국으로 지내면서 모든 문화 교류를 했었다는 그의미를 이영혼 결혼식을 보면서 그일부를 이해 할수 있게됐다. 지금은 거의 다 없어졌지만, 시골 각동네마다 서낭당, 또는 동네에서 외따로 떨어져 있는 곳에 집에 상여를 보관하고, 동네에 초상이 났을때는 그곳에서 상여를 꺼내와서 사용하곤 했었던 기억이 뚜렷히 남아 있다. 어린 마음에 그옆을 지날때는 귀신이 나와서 붙잡아 간다는 어른들에 얘기를 그대로 믿고, 무서워서 때를 지어 다니곤 했었다.
가끔씩 고국을 방문하여, 옛고향을 비롯한 시골마을들을 방문해 보면, 어렷을적 정취는 흔적도 찾아 보기 힘들다. 좋게 해석하면 그만큼 사람들의 삶과 문화가 발전했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만, 토속 신앙이 완전히 그자취를 찾아볼수 없게 됐다는 점에서는, 후세에 우리 선조들의 삶에 대한 설명 자료가 없어져 버렸다는 아쉬움이 마음한쪽에 웅크리고 있다.
어렸을때의 기억중 하나는, "당골내" 아주머니가 가끔씩 우리집을 찾아와서 어머니로 부터 쌀을 비롯한 먹거리를 얻어가곤 했었는데, 아주 어린 나에게 까지 그여인은 존대말을 썼고, 나는 어머니가 시키는데로 반말을 했었던 기억이 있다. 풍습이 그랬으니까 말이다. 그렇게 비슷한 풍습이 아직도 중국의 일부 지방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나타나고 있다는것은, Focus을 어디에 맞추느냐에 따라서 결과는 서로 상반 될 일들이다.
어렸을때는 모든게 구식이고, 천하게 여기고 그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사람대접도 안해주어도, 당시의 풍습에서는 당연히 나는 그런 천한(?)사람들과는 다르다라는 막연한 우월감(?)이 많았었는데, 세월이 흘러 인생의 쓴맛 단맛을 다 겪어서 오늘에 이르러서는 우리 조상님들의 의식이 너무도 많이 "외형"에 치우치고, 전통을 천한 것으로 없신여겼다는, 그래서 지금은 완전히 우리의 생활에서 사라져, 거의 다른 나라가 됐지만, 그야만적인 풍습속에는 훈훈한 인심이 항상 있었음을 뚜렷히 기억한다.
Image copyrightGETTY IMAGESImage captionBurning offerings to pay respects to deceased ancestors is an important ritual in Chinese culture
중국의 북서쪽 지방의 경찰이 정신적 불구자인 두명의 여성을 살해한 혐의로 붙잡아 기소했는데, 이유는 "영혼결혼"으로 불리는데 사용되는 시신을 원하는 자들에게 팔려고 저지른 범죄였었다.
일종의 토속신앙에서 그뿌리를 찾을수 있는 영혼 결혼인데, 아직 결혼을 안한 처녀 총각이 세상을 떠났을때, 구천을 헤메고 있을 귀신들에게 영혼 결혼을 시켜서 편안한 내세의 삶을 살도록 하기위함인데, 이러한 오랜 전통(?)이 아직도 중국의 일부 지방에서 행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Shaanxi지방 경찰에 따르면, 이러한 살인 사건은 지난 4월 발생 했었는데, 교통정리를 하고 있던 경찰이 3명의 남자가 타고 있던 차를 세워 검문한 결과 그속에는 한 여성의 시체가 있는것을 발견하고 이들을 붙잡은 것이다.
조사결과 성이 'Ma'라고만 밝혀진 한 남자가 여러 여자들에게 신랑감을 찾아 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신랑감을 찾아주는 대신에, 그는 그들을 붙잡아 다 살해한후 그시체를 팔려고 했었다는 것이다.
영혼결혼이란 무엇인가?
약 3,000 여년을 이어져 내려온 전통을 믿는 사람들은 주장하기를, 처녀 총각이 결혼을 하기전에 죽으면 내세에서도 혼자가 아니라는것을 믿는 것이라고 한다.
원래는 이러한 결혼식은 죽은자를 위한 의식이라고 하지만 - 살아있는자가 두명의 죽은사람들과 결혼식을 하는 의식 - 요즘에는 살아있는 사람이 죽은 사람과 결혼하는 의식도 여기에 포함된다.
두명의 죽은 사람 사이에 이루어지는 영혼결혼에서, 신부의 집안식구들은 신부를 데려가는데 그대가를 요구하고, 때로는 보석, 노비 그리고 큰 집을 포함한 결혼지참금을 요구하기도 한다. 다만 그러한 요구는 오직 서류상으로 나타날 뿐이다.
이런 전통결혼식에도 나이와 집안식구들의 백그라운드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며, 그렇게 하기위해서 양가식구들은 Feng Shui(풍수지리전문가)를 중매쟁이로 내세워 일을 진행시킨다.
결혼식 축제는 전통적으로 신랑, 신부의 위페를 앞세우고 또한 결혼 축하연도 한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처녀신부의 유골을 파내서 죽은 신랑의 무덤에 합장 하는 의식이다.
이러한 전통의식에 나쁜점은?
Image copyrightGETTY IMAGESImage captionFor years there have been reports of grave robberies to meet demand for the remains of women as ghost brides
이러한 의식들이 아직도 중국의 일부 지방에서는 행해지고 있다는 증거들이 많다.
살아있는 사람이 비밀리에 행해진 의식으로, 죽은 시체와 결혼식을 올리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더욱더 놀라게 하는것은 묘지를 파헤쳐 유골을 훔치고, 더심한경우는 이러한 의식을 치르기위해 살인을 저지른 다는 것이다.
In 2015, it was reported that 14 female corpses were stolen in one village in Shanxi province. Villagers said tomb-raiders stole the bodies to make money.
2015년에 Shanxi성의 한 마을에서는 14명의 여성시체가 도둑맞았다는 것이다. 동네 사람들의 전언에 따르면 도굴꾼들이 돈벌기위해 그렇게 묘를 파헤쳤다는 것이다.
According to Huang Jingchun, the head of the Chinese department at Shanghai University who carried out a field study on ghost weddings in Shanxi between 2008 and 2010, the price of a corpse or the bones of a young woman has risen sharply.
At the time of his research such remains would fetch around 30,000 to 50,000 yuan (£3,400 to £5,700; $4,500 to $7.500). He estimates the price these days could be up to 100,000 yuan. The sale of corpses was outlawed in 2006 but that hasn't stopped grave robbers.
A man arrested in Liangcheng County, Inner Mongolia last year told police officers that he murdered a woman so that he could make money by selling her body to a family looking for a ghost bride.
Why is this happening?
The reasons vary from place to place. In some districts of China, such as Shanxiwhere the latest murders are alleged, there are large numbers of young, unmarried men working in coal mining, where fatalities are high.
Image copyrightSZETO FAT-CHINGImage captionPaper versions of all the comforts of life are offered to the deceased
The ghost wedding serves as a form of emotional compensation for bereaved relatives, as finding a dead bride is something they can do for a son who died young while working to support the family.
But sex ratios are also significant. The 2014 census results show that about 115.9 boys were born for every 100 girls.
But Dr Huang believes there are also more fundamental cultural reasons.
Many Chinese people believe misfortune will be brought upon them if the dead's wishes have not been fulfilled. Hosting a ghost wedding is a means to pacify the dead.
"The basic ideology behind ghost weddings is that the deceased continue their lives in the afterlife," Dr Huang said. "So if someone didn't get married when they lived, they still need to be wedded after their death."
Does it happen in other places?
Most cases are found in northern and central China, areas such as Shanxi, Shaanxi and Henan provinces. But Szeto Fat-ching, a feng shui master in Hong Kong, also confirms the ancient form of the custom still exists among Chinese communities in South East Asia.
Image copyrightGETTY IMAGES
In Taiwan, if an unmarried woman passes away, her family may place red packets with cash, paper money, a lock of hair, a fingernail out in the open and wait for a man to pick them up. The first man to pick up the packets is chosen as the groom and it is believed to be bad luck if he refuses to marry the ghost bride.
The wedding rituals are similar, but unlike in mainland China, no bones are dug up. The groom is often allowed to marry a living woman later, but his dead wife should be revered as the primary wife.
Last year a video of a ghost wedding from Taichung in Taiwan, where a man apparently "married" his deceased girlfriend in an elaborate ceremony, went viral.
At the core of these rituals is the universal human dilemma of how to deal with bereavement.
"Such ghost weddings are very touching, showing the perseverance of love," Mr Szeto told the BBC.
중국은 역시 광대한 나라다. 사막에서 부터 남쪽의 열대림,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높은 히말라야 산맥의 한쪽이 중국땅에 있고....
모택동이 중국의 지배하기위해 치사한 방법으로 주도한문화혁명때, 십대의 홍위병들이 역사적 유물을 때려 부수지만 않았어도, 지금 관광객들이 중국 전역을 구경하면서 자연과 역사적 유물에 대한 화려함과 셈세함에 감탄을 자아내는 그위에 더많은 조상님들의 흔적을 볼수 있었을텐데.... 그는 과연 중국의 영웅인가? 아니면 중국뿐만이 아니고 역사적 흔적을 사랑하는 전세계의 많은 관광객들에게 Beast로 보여지고 있을까?
중국의 한농부가 어렵게 목축업을 하면서, 항상 보아왔던 주위의 산들이 그에게는 아무렇치도 않게, 세상의 모든 산들이 그러한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으려니... 생각하면서 조상대대로 살아 왔었다고 한다. 그런데 우연히 한 기사의 눈에 띈 무지개 산들이 너무도 아름다워, 그곳에서 삶을 살아가는 이농부와 만나, 그가 아무렇치도 않게 보아왔던 무지개산들이 8천만년전의 보물에 대한 비밀을 안고 있다는 얘기에 그도 놀랐고, 지금은 관광에 눈을 떠서, 굉장한 규모의 모텔업으로 직업을 바꾸어 돈의 가치를 느끼면서 살아가고 있다는 이야기는 시사하는바가 많다.
중국의 보물,무지개산(Rainbow Mountains), 8천만년전의 신비를 벗기다.
2000년도 까지만 해도, 중국을 비롯한 전세계 사람들은 무지개 산(Rainbow Mountains)에 대해 본일도 들어본일도 없었다. 지금은 이산들이 전세계 사람들의 시선을 한군데 모으고 있으며, 특히 사진사들과 영화찍는 사람들이 바쁘게 움직이는 곳이다.
아래의 링크를 연결하여 동영상을 보면, 실감은 더 커진다. 야 장관이다.
이게 정말로 산이란 말인가? 이지구상에 이곳말고 또 이런곳이 있을까? 몇년전 중국 남서부쪽을 여행하고, 그보다 훨씬 전에는 북부와 중앙지대를 여행할때는 이산들에 대한 Tour Guide의 설명은 전연 없었다. 그때 알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버마의 옛영화를 한눈에 볼수 있는 Bagan의 국보급, Stupa들이 며칠전 밀어닥친 지진으로 많이 파괴되여 버마인들뿐 아니고, 역사적 흔적을 보기 좋아하는 많은 여행객들의 마음을 아프게 하고 있다.
버마는 그동안 사회주의 국가체제를 유지하면서, 외부세계와의 왕래를 단절하고, 이북같은, 쓰레기같은 몇개 나라와 쥐구멍 외교를 하다가, 최근에 체제가 바뀌면서, 세계를 향해 문호를 개방하면서, 기다리고 기다렸던 많은 관광객들이 밀물들어 오듯이 모여들고 있는 곳이다.
우리 부부는 불과 2년전, 그곳 Bagan뿐아니고, 버마(Myanmar)의 주요 유적지를 탐사 했었다. 그때 Bagan에 들려서, 그곳의 상징물이었고, 우리 한국의 장승문화 같은, Stupa, Pagoda를 경이롭게 구경했었다. 당시 Guide의 설명으로는 수만개의 Stupa가 있었지만, 현재는 겨우 3,000여개만 존재 한다고 설명들었는데, 아래 BBC기자의 설명은 약 2,000개 정도만 있었다고 했다.
Stupa의 종류도 당시 조상들이 건축당시, 부자와 가난한자들의 흔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었다. 즉 있는자들은 조상을 잘모시기위해, 더 크고 규모있게 건축했었고, 반대로 가난한 후손들은 규모가 적거나 빈약함을 보여주고 있었다. 인간이 세상을 사는 동안에는 좋건 싫건 삶의 질은 Fortune과 연관되여 있음을 깊이 느낀곳이기도 했었다.
지금은 지하에서 헤매고 있을, 중국의 모택동이 문화혁명을 주도하여, 아직 세상 물정을 모르는 10대들을 동원하여, 역사적인 고적들을 비롯한 수많은 인명과, 인류재산을 파괴한 지난 1960년대 전후의 중국이 이런 모습이 아니었을까?라는 안타까움이다.
그곳이 이번 지진의 진원지가 되여 더이상은 그옛날 조상들의 흔적을 전에 내가 봤던 그모습이 아닌 남아있는 일부만을 볼수밖에 없게 됐다니.... 다시 한번 블로그에 써 놓았던 그곳의 여행 흔적을 들여다 봤다.
Myanmar earthquake: Images from Bagan historic sites
Image copyrightAFPImage captionThe 6.8-magnitude earthquake damaged dozens of ancient structures
A 6.8-magnitude earthquake in central Myanmar on Wednesday killed four people and damaged dozens of ancient structures dotting the plains of Bagan.
President Htin Kyaw visited the area on Thursday to see the damage and discuss how to repair it with local officials.
Bagan's spectacular plain has more than 2,200 pagodas, temples, monasteries and other structures on it, most left over from the city's heyday between the 11th and 13th Centuries, when it was the capital of the regions that went on to form modern Myanmar.
Image copyrightEPAImage captionNo-one in Bagan was killed in the quake, although four people died elsewhereImage copyrightREUTERSImage captionThe Sulamani temple was one of the most famous to be damagedImage copyrightAPImage captionWednesday's was just the latest, and far from the most damaging, of hundreds of quakes to hit Bagan since its famous sites were built between the 10th and 14th centuriesImage copyrightREUTERSImage captionWith many years of hasty - some critics say too hasty - restoration in the past, a lot of what fell was in fact more recent materialImage copyrightREUTERSImage captionBagan is one of Asia's most famous historic sites and is the centrepiece of Myanmar's fast-growing tourism industryImage copyrightAPImage captionMilitary personnel were drafted in to clean upImage copyrightREUTERSImage captionAfter the quake, some tourists still took pictures of the sights, but from a safe distanceImage captionThousands of structures dot the plains of Bagan, which was once the capital of the Kingdom of Pagan - an early version of what is now MyanmarImage captionThe quake was also felt in neighbouring Banglade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