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April 29, 2010

정말로 북괴를 응징할 합당한 방법은 없는가? 김영희(중앙일보)의 칼럼을 보면서.





유족들의 오열속에, 국민들의 애도속에, 대통령을 비롯한 각군참모총장들이 참석한 속에서, 순직해군장병에 대한 장례절차가 끝났다고 한다.
군통수권자인 대통령의 Nod 없이는 가볍게 의지를 나타낼수없는 내용의 조사를 해군참모총장이 했다는 내용을 보았을때는, '꼭 그대가를 치르게 하고 말겠다'라고 언급한 대통령의 며칠전 담화 내용을 다시한번 강조하는것 같아, 마음이 놓이는것 같았다. 나는 개인적으로 이번에만은 절대로 그냥 넘겨서는 안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전쟁이 날까봐 두려워서, 다시 보복을 당할까봐 무서워서.... 등등의 이유를 들어, 지금까지 계속 조국 남한은 북괴 김정일 Regime에 두손 뒤로 묶인체로, 열손락으로 헤아리기 어려울만큼 당해 오기만 했었다. 함부로 날뛰면 그결과가 어떻게 되돌아 오는가를 꼭 보여주어, 똘만이 김정일을 포함한 미치광이 집단을 혼줄내주던가, 아니면 아예 이번참에 그를 권좌에서 뽑아내 버려, 다시는 무고한 인명이 살상되는 참변을 막아야 하는것도 중요하지만, 공포에 떨고 굶주림에 허덕이고 동원사역에 시달리는 북한 동포들의 고통을 풀어주어야 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실행에 옮기는 과정이 수학공식처럼 풀어질수가 없다는데 있는것 같다. 네가 먼저 한방 쏘았으니, 나도 응징의 표시로 한방 쏘아야 겠다 라는 방법으로는 곤란하다는 얘기다. 이번 참상을 지켜본 모든이들이 수긍이 갈수 있는 Discipline으로 채찍을 호되게 후려쳐서 이를 지켜본이들이 '참 잘했다'라는 평가를 받을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데 핵심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너무 조금하게서둘면 네가 때렸으니 나도 맞받아 쳤다는 핀잔을 받을수 있고, 너무 오래끌면 기억에서 사라져 빛이 바랠수도 있거니와, 목이 빠져라 기다리고 있는 국민들에 실망을 줄수도 있기에 더욱 그렇다. 옛말에 결자 해지라고 했다. 주위의 조언을 귀담아 들을 필요는 있으나, 최종결정은 본인(대한민국)만이 할수 있는 어렵고도 고독한 지혜가 필요하다. 마침 고국의 주요 언론들도 대통령을 비롯한 국민들의 생각을 그대로 받아들여 응징은 꼭 이루어져야 한다고 의견을 내고 있어 다행이다. 아쉽게도 오늘자 고국의 중앙일보의 김영희 대기자( 왜 '대'자가 앞에 붙여졌는지는 아직도나는 모른다)의 컬럼내용은 교묘히 이러한 응징을 해서는 안된다는 뉘앙스를 풍기고 있었다. 결국 미국이나 중국의 눈치만 보고 있으라는 내용인것 같았다. 그분은 결자해지라는 사자성어를 몰라서 였을까? 상처가 생기면 고름을 짜내기위한 고통은 따르기 마련인것이다. 아프기때문에 상처를 그냥 Band-Aid로 덮어 두자는 논리는 절대로 안된다. 피해가 발생하고 인명손실이 있다해도, 더큰 좋은 결과를 얻기위해서는 치러야할 대가로 생각하고, 단호해져야 한다. 만약 이번에도 행동이 뒤따르지않는 공약성 발언으로 끝난다면, 앞으로 조국 대한민국에 거는 희망은 없다고 본다라는 내용의 컬럼을 썼으면, '대'자가 붙은 기자답다라고 생각했을텐데....그분의 안보관에 대해 우려를 하지 않을수 없게 됐다. 안타깝게도 우리 한반도를 둘러싼 주위 열강들중, 미국과 중국은 이번 참사에 미지근한 태도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그들의 본심은 한국이 잠잠하기만을 바라고 있다는 얘기일수도 있다. 이러한 민감한 부분을 김정일 Regime은 잘 알고 있기에 최대로 악용하고 있는 현실에서, 조국 대한민국도 대담해져야 한다. 맞고 당하는데도 이제는 maxed-out됐음을 행동으로 보여 주어야 한다. Falklands 전쟁을 우리는 뚜렷히 기억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영국은 무척 불리한 조건이었는데도, 강대국들의 참으라는식의 조언에도 아랑곳 하지않고, 만마일이 넘은 장거리를 폭격기가 날아가, 영토가 영국보다 몇배가 큰 아르젠티나의 망나니짖을 준엄하게 꾸짖고 무릎을 끓게 하고 말았던 당시 대처수상의 용단성에 세계는 찬사를 보냈던 기억 말이다, 영국도 당시에 피해는 컸다. 그후로 지금까지 같은 곳에서 분쟁이 일어났다는 뉴스는 없었다. 조국 대한민국은 주위의 눈치를 볼 필요가 없다기 보다는 매달릴 필요는 없다고 본다. 미국의 언론도, 조국국방장관의 말을 인용해서 '외부에서 터진 Torpedo에 의한 참상'인것 같다는 정도다. Weekly Magazine 'Time'지의 이번참상에 대한 내용도 김기자의 내용과 대동소이했다. 지난번 정권때는 고국의 대통령이 북괴 김정일이를 옹호하는듯한 행동으로 일관하여, 맹방인 미국의 미움을 사더니, 이번에는 그반대 성향을 보는것 같아, 결국 자국의 보호와 살길은 자국민만이 '외롭게' 해결해야 한다는 결론을 본다. 이번처럼 조국국민들의 마음이 한데로 모아진 예를 본적이 흔치 않았었다. Timing과 Action이 어우러져야 한다. 북괴의 금강산 관광지와 개성공단같은곳에 대한 미끼에 낼름 받아먹는 '우'는 절대로 반복되여서는 안된다. 이번만은 세계 10대 경제대국의 저력이 어떤것인가를 꼭 보여주고, 망나니의 콧대를 부러뜨려야 한다. 여기에 김기자의 컬럼과 Time지의 내용을,그리고 CNN 기사를 옮겨 본다.

North Korea's Provocations: The World's Limited Options(Time Magazine)
By BILL POWELL Wednesday, Apr. 28, 2010


An undated picture released by the Korean Central News Agency (KCNA) on 26 April 2010 shows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Il (C) visiting the command of Korean Peoples Army (KPA) Unit 586
EPA / KCNA

You can't quite set your watch by it — Kim Jong Il is not that predictable — but every year (and sometimes more than once) the regime in North Korea does something that reminds the world, yet again, of two things: just how beyond the pale the government in Pyongyang is, and just how powerless the rest of the world is to do anything consequential about it.
Just over a month ago, while sailing off the western coast of South Korea, a South Korean naval ship, the 1200-ton Cheonan, was cut nearly in half by an explosion, and sunk swiftly thereafter. Forty-six sailors died. After weeks of confusion about what, exactly, happened — Was it attacked? Had some of its own on-board munitions exploded? Had it accidentally struck a mine? — the South Korea government has now come very close to endorsing the conclusion expressed publicly April 24 by its Defense Minister Kim Tae Young that "a heavy torpedo is most likely the cause of the sinking."
(See pictures of the rise of Kim Jong Il.)
Kim didn't specifically say it was a North Korean torpedo. He didn't need to; nor necessarily do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nt to. "South Korea is now like a CSI investigator who, upon seeing a dead body with a bullet hole in the forehead refuses to rule out a heart attack as the cause of death since the only suspect in the room with a pistol is a vicious gangland boss," says Bruce Klingner, a senior research fellow at the Heritage Foundation and a former CIA analyst. "Better to engage in a lengthy investigation, both to gather irrefutable evidence and to delay the inevitable day of reckoning."
The gangster analogy is apt. It precisely captures the dynamic that keeps the North's relations with the outside world pretty much exactly where they've been for the past 20 years. As long as Kim & Co. don't do anything truly crazy, like start bombing Seoul, there is virtually nothing that South Korea, the U.S. or anyone else can do to constrain their smaller acts of war. And make no mistake, shooting a torpedo that sinks a South Korean ship in South Korea's own waters is an act of war, no less than a North Korean artillery attack on the South Korean parliament building in Seoul would be.
It's just that smaller acts of war cannot be allowed to matter. Hillary Clinton infuriated many South Koreans when she said on April 22 that she hopes "there is no talk of war, there is no action or miscalculation that could provoke a response that might lead to conflict. That's not in anyone's interest." The Secretary of State also added that "the way to resolve the outstanding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s] was for the North to return to the six-party talk framework [which involves trying to bribe the North into giving up its nuclear weapons] as soon as possible." Though the State Department says Clinton's message was aimed at Pyongyang, that's not the way a lot of people in the South took it. To them it sounded like 46 South Korean sailors lie at the bottom of the sea, but God forbid South Korea do anything that might "lead to conflict."
(See pictures of North Koreans at the polls.)
However politically tone deaf that remark might have been in substance, pretty much everyone in Seoul, up to and including President Lee Myung Bak, understands it's also correct. To be sure, there have been hawkish noises in Seoul in the wake of the Cheonan's sinking, including some coming from surprising sources. Kim Jang-soo, the former defense minister under the late Roo Moo Hyun (as dovish and non-confrontational a President as his predecessor, Kim Dae Jung) told TIME Wednesday that "both military and non-military actions have to be considered," including "a possible naval blockade and the striking of a limited military target." Kim has since switched parties since he worked for Roh — he's now a member of Lee Myung Bak's ruling Grand National Party — but his public comment shows just how raw emotions are in Seoul at the moment.
But the notion that a conflict might, in fact, build from here is remote. President Lee himself has already said he "had no intention of invading the North," and even the anger and sorrow now evident in South Korea does not create an appetite for war. People want the North to be punished, but not militarily.
That means Seoul's options are extremely limited. Hyundai Asan's $1 billion investment in the Mt. Geumgang tourist area in the North already looks like a goner, since Seoul suspended tourism in July 2008 when a 53-year-old South Korean woman accidentally walked into an off-limits military zone and was shot dead by North Korean soldiers. There is almost no food aid going from South to North now. So the most obvious target for tighter economic sanctions is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hich currently houses factories for some 120 South Korean companies just across the demilitarized zone in the North. Nearly 40,000 North Koreans work there for minimal wages, and feeding them would be an additional burden on the North at a time when famine is, by many accounts, again becoming a problem. But no one believes shutting Kaesong would be a crippling blow; indeed, Pyongyang itself has been threatening to shut the complex unless the South agrees to normalize inter-Korean relations.
As always, that leaves a lot of people casting longing glances at Beijing. If only the mighty Chinese would now kick into gear, shutting down trade with the North to punish them. It's unlikely to happen, not to any significant degree anyway. Victor D. Cha, former director of Asian affairs on George W. Bush's national security council, doesn't even think Beijing would sign on to tighter U.N. sanctions limiting the North's ability to buy conventional naval weaponry. Remember: The Chinese, like Washington, have been hoping to get the North to return to the hallowed six-party talks. All year, there have been rumors in Seoul and Beijing that a visit by Kim Jong Il to the Chinese capital was imminent.
Under the circumstances, it's going to be tough to get the South Koreans all excited again about those talks. (Asked whether this incident will impact efforts to restart them, Cha, now at 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in Washington, deadpans: "It certainly doesn't help.") But since the first term of the Bush administration, when a tougher North Korea policy led Pyongyang to accelerate its nuclear program, the outside world has had no stomach for any confrontation with Pyongyang. It still doesn't.
In June, the U.S. and South Korea, among others, will commemorate the 60th anniversary of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Like six other South Korean sailors killed in an incident in 2002, and like 115 civilians killed when North Korean spies blew up a Korean Airlines plane in 1987, the 46 who died last month are but the latest casualties in a war that, 60 years on, has never really ended.
— With reporting by Stephen Kim / Seoul


Read more: http://www.time.com/time/world/article/0,8599,1985350,00.html#ixzz0mX8ar48d



[김영희 칼럼] 일상으로 돌아가자 [중앙일보]

우리는 어제 꽃다운 나이의 46용사들을 떠나보냈다. 우리 국민의 집단적 슬픔이 아무리 컸어도, 그들의 영전에 바친 무공훈장이 아무리 빛나도, 영결식장의 추도사가 아무리 비통해도 46용사 개개인의 원통한 죽음과 유가족들의 하늘 무너지는 상실감은 보상받을 수 없다. 그들은 서해 최전방의 방어선이 그들 뒤로 뚫리리라고는 상상도 못 한 채 상부에서 지시하는 대로 주어진 초계 임무에 임하고 있었다. 그들은 접근해 오는 적의 어뢰나 기뢰를 천안함의 최첨단 음파탐지기가 포착하지 못하리라고는 상상도 못 했다. 그들은 군 수뇌부를 믿었다. 아니, 대한민국을 믿었다.

그러나 그들의 믿음은 배반당했다. 서해안의 방어망은 숭숭 뚫렸다. 천안함 침몰 후 군수뇌부가 보인 허둥지둥과 무질서와 보고체계의 난맥상은 과연 세계에서 가장 호전적인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군을 지휘·통제하는 시스템이 존재하는가 의심이 들 정도였다. 그래서 우리는 46용사들에게 미안하고 면목 없다. 차라리 싸우다 죽었으면 덜 억울하겠다는 어느 유가족의 비통한 외침은 오래 우리의 뇌리를 떠나지 않을 것이다.

대통령과 군 수뇌부는 무비유환(無備有患)의 ‘죄인’들이다. 군대를 가지 않은 대통령과 육군 출신 국방장관과 합참의장은 2함대 전역이 해군의 3D 지역이라는 사실에 관심을 가진 적이 있는가. 3군 중 해군 푸대접을 시정하는 데 한 번이라도 생각이 미친 적이 있는가. 말로는 서해방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그들, 그리 넓은 해역도 아닌 서해의 바닥을 손바닥 들여다보듯 할 수 있는 지도는 갖고 있는가.

46용사들은 가도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는 제자리를 지켜야 한다. 우리는 애도 기간에 단락을 짓고 일상으로 돌아가야 한다. 천안함이 남긴 과제가 무겁고 엄중하다. 한 달 이상 계속된 진군나팔 소리, 강경보수 쓰나미, 간간이 들린 친북 좌파들의 볼멘소리 아래서는 합리적·이성적인 대처가 나올 수 없다. 사건 초기 원인을 예단하지 말자는 이성의 소리를 내던 대통령도 결국은 강경보수 쓰나미에 휩쓸린 인상이다. 강경보수 진영에서는 그에게 군사적인 행동을 배제하지 않은 조치를 취하라고 압박한다. 대통령은 대통령답게 한국이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에 대한 인식을 분명히 가져야 한다. 천안함 침몰이 북한 소행이라는 객관적인 증거를 잡지 못하면 정부가 준비 중인 사건의 유엔 안보리 회부도 벽에 부딪힌다. 그 객관적 증거가 잡힐 것인지, 잡힌다면 언제 잡힐 것인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현실을 바로 보자. 북한에 대한 물리적인 보복은 어렵다. 누구보다도 미국과 중국이 반대할 것이다. 미국의 반대를 무릅쓰고, 남북 국지 충돌을 각오하고 북한에 본때를 보일 군사적인 행동의 여지가 우리에게는 없다. G20 정상회의를 열 번 주최해도 한국이 남북분단의 볼모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외교적으로 한국이 할 수 있는 것은 오늘 이명박·후진타오 회담과 5월 말 제주도에서 열릴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북한 압박에 중국의 성의 있는 협력을 구하는 것뿐이다. 이 대통령은 필요하면 국내의 강경 기조를 업고 중국에 책임 있는 역할을 다그쳐야 한다. 북한이 저런 불량국가가 된 데는 중국의 책임이 막중하다.

객관적 증거가 나오지 않아도 천안함 침몰이 북한 소행이라는 정황증거가 우리 눈에는 보인다. 그러나 한국 밖은 한국이 아니다. 국제사회는 냉엄하다. 유감스럽지만 천안함 사태는 돌고 돌아서 미국과 중국의 의도대로 6자회담 재개 논의로 어물쩍 넘어갈 공산이 크다. 중국은 지금 남북관계의 악화로 경제적인 어부지리(漁父之利)를 챙긴다. 미국이 북한 어뢰나 기뢰의 물증을 찾는 데 적극적인 것은 북한이 그런 해상 테러 수단을 가졌다면 이란과 다른 테러집단에 수출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걸프 해역과 인도양의 해군 전략을 재검토할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여기서 한국과 미국의 이해가 갈린다.

한국이 취할 행동반경은 답답할 만큼 제한되었다. 보복 공격론으로는 아무것도 얻지 못한다. 이 대통령은 강경론과 확실한 선을 그어야 한다. 지금은 남북관계 올스톱, 대북정책 부재다. 그래서 대북 지렛대가 없다. 북한 소행이라는 증거가 나왔을 경우와 정황증거만 있고 물증이 오리무중일 경우 이명박 정부 남은 임기 동안 핵을 포함한 북한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냉정하게 생각해야 한다. 천안함 사건은 남북문제인 동시에 국가 간 이해가 복잡하게 얽힌 동북아 정치문제다.

김영희 국제문제 대기자


http://www.cnn.com/2010/WORLD/asiapcf/04/29/south.korea.ship.funeral/index.html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