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 Nguyen Giap, renowned Vietnamese general, dies in Hanoi
View Photo Gallery —
Vo Nguyen Giap dies: The Vietnamese military commander and national
folk hero who organized the army that defeated the Japanese, the French
and then the Americans in 30 years of Southeast Asian warfare died Oct. 4
at age 102.
http://www.washingtonpost.com/local/obituaries/military-leader-vo-nguyen-giap-defeated-french-us-forces-in-vietnam-conflicts/2013/10/04/897ffff2-c5da-11df-94e1-c5afa35a9e59_story.html
"사람은 죽으면 이름을 남기고, 호랑이는 가죽을 남긴다" 라는 말이 새삼 회자된다.
우리 인간의 수명은 70에서 80세이다. 요즘은 생활환경이 향상되여 100세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는 뉴스가 자주 나온다. 그렇치만 자아가 발달되고 신체적으로 사회활동을 할수 있는성장기까지는 적어도 25년내지 30년이 걸린다. 나머지 약 40년이 실질적으로 삶의 현장에서 뛰는 시간이라고 정의해 본다.
40여년이라는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그시간 동안에 열심히 활동한 결과를 놓고 우리인간들은 평가를 하게된다. 어떤이는 영웅도 되고, 어떤이는 평생 우리사회에 해만 끼치고 떠난 악당이 되고, 극과 극을 이루는 그사이에서 대부분의 보통 사람들은 조용히 처해진 환경에서 열심히 활동하다 때가 되면 흔적없이 사라진다. 그리고 원래 태어난 곳으로 되돌아 갈때는 한평 크기의 속으로 , 모두가 그러듯이, 묻히고 만다.
그러나 영웅이고 악질적인 사악한 인간이든, 세상을 떠날때는 빈손으로 가고, 그로 부터 얼마동안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지만, 불과 몇년이 안가 그것 마져도 깊은 역사속으로 파묻힌다. 그다음 부터는 시험볼때 답안지에나 겨우 오르내릴 정도로 변한다.
영웅으로 칭송받는 사람들중에는 유산으로 큰 재산을 남긴분들도 많다. 허지만 거의 경제적 부를 축적하지않고, 정말로 나라와 국민들을 위해 평생 헌신하다 간 분들도 많다.
102세를 일기로 세상을 뜬 월남의 혁명가 3인중 하나인 "Giap"은 그전형적인 인물같다. 그들의 목적이었던 공산주의 통일을 이루기 까지는 철천지 원수인양 미국을 비롯한 연합군들과 목숨걸고 싸웠었다. 그리고 외세를 물리치고 월남의 자주독립을 이루었다. 전후 그는 국가개혁을 위해 헌신하여, 영웅으로 추앙받고 은퇴후에는 고향으로 돌아가 순박한 할아버지로 삶을 살았었다.
우리나라도 Giap장군보다 훨씬 더 어려운 여건속에서 풍전등화같은 조국을 구해낸 전쟁영웅들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P"장군은 구국의 영웅중의 영웅으로 떠받들어지고도 남을 인물이다. 그분은 지금 생의 마지막 시간들을 보내고 있지만, 국민들, 특히 정치꾼들의 뇌리에서 사라진지 오래다. 어느 버르장머리 없는 야당 정치꾼은 P장군을 근거도없는 자료를 들이대고 그의 명예에 먹칠하기에 여념이 없는 뉴스를 보면서, 그런자가 국민의 대표로 뽑혀 세금을 축내고 있다는 현실에 혀만 끌끌 찰수밖에 없었다.
그분이 미국에 가면 "전쟁영웅"으로 미국의 정치인들, veteran들로 부터 극진한 대접을 받는다. 이얼마나 서글픈 얘기인가. 이정도로 조국 대한민국은 사악한 사람들만 득실거리는 추잡한 국가로 추락한 원인이 무엇일까? Mausolium하나 건설해 놓을 꿈도 못꾸는 도덕상실의 나라가 되고 말았다. 그러니 온전한 조국의 역사관이 설정될수 있을까? 절대로 할수가 없다. 조국이 어려울때 국민들은 어디를 향해 기원하면서 조국의 안녕 질서를 부르짖을까? 허공에 대고 할수 밖에.....배만 부르면 만사성사된걸로 알고, 시궁창에 코를 박고 깊은 잠에 빠져드는 돼지같은 사람들이 사는 조국대한민국의 앞날이 걱정 스럽다. 역설적으로 경제건설을 하지 말고, 보릿고개를 넘기위해 누렇게 뜬 얼굴들을 하고 있는 그대로 놔 두었었어야 했다는 억지 가정까지 해 본다.
그렇게 철천지 원수처럼 싸우고, 지구가 존재하는한 서로 상종을 하지 않을것 같이 총구를 겨누었던 그민족들이, 그중에서도 미국과 조국 대한민국이 월남과 아주 친한 협력관계자가 되여, 언제 그랬냐는듯이 오손도손 손잡고, 보다 낳은 삶을 추구하기위해 열심히 서로 협조하고 있는 이웃으로 변하고, 그속에서 국민들은 보다 향상된 삶을 구가하고 있다.
이럴거였으면 왜 그렇게 수백만명의 젊은 꽃다운 청춘들의 목숨을 담보로 싸워야 했었나?
넓게 생각해 보면, 몇명의 정치적 leader들의 욕심과 명성을 위해 순진한 젊은이들을 마음데로 끌어다 소모품으로 사용한, 이념이 서로다른 정치꾼들의 야욕이 깊이 그속에 도사리고 있음을 뼈저리게 느낀다. 요즘도 세계지도를 펴보면, 아프리카, 파키스탄, 아프카니스탄, 애집트, 시리아, 한반도 등등의 지역에서 정치꾼들의 야욕을 채우기위해 젊은 목숨이 소모품으로 이용되고 있음을 수없이 본다.
남 북 월남이 공산정권휘하에 통일된 나라가 되기전, 그자신은 핵심구룹에서 밀려나 야전 사령관으로 좌천되여 밀림속에 있었기에 막상 남부 월남의 수도 사이공이 패배의 백기를 들었을때는, 그는 그축제의 중심에 있지못하고 멀리서 이를 지켜볼수 밖에 없었다. 그후 국방장관으로 복권되여 하나로 통합된 군병력의 수장으로 국가에 봉사를 했었다고 한다.
역사는 수레바퀴처럼 돌고 돈다. 앞으로 몇십년후에는 이들 천적과 같이 피흘려 싸웠던 사람들이 과거는 잊어 버린채 오손도손 좀더 낳은 삶의 질을 향해 같이 손꼭잡고 매진하는 그순간들이 올것임을 분명히 확언한다. 오늘 Giap의 죽음을 보면서 모두가 다 부질없는, 어리석은 인간들의 욕심이었음을 새삼 느끼게 된다. 이것이 월남전이 관련 당사국및 인류에게 보여준 결과이고 교훈이다. 영웅으로 떠받들어진 Giap도 빈손으로 우리곁을 떠났다. 그러나 다른것은 그는 오랫동안 월남인들의 기억속에 월남을 통일시켜, 경제적으로 풍부하게 살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 준 고마운 민족의 영웅으로 남아 있을 것이라는 점이 우리 조국 대한민국 사람들과는 다르다는 점이다.
Giap의 간추린 삶에 대한 얘기를 잠깐 언급해 본다.
오래전에 많이 들어 보았던 이름이다. "지압". 정글속에서 월맹군과 베트콩들에게 죽창과 밀림도끼등으로 월남전에 뛰어 들었던 미군과 연합군들을 물리친 통일된 월남에서는 영웅3인중 한사람이 바로 "지압"장군이다. 나머지 두사람은 우리가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Ho Chi Minh이고 그리고 후에 수상을 했던 Pham Van Dong이다.미군들이 월남전에 참전하기전에는 불란서가 월남을 지배했었고, 이들 3인방은 그때부터 외세를 월남 전역에서 몰아내기위해 정글속에서 베트콩과 월맹군을 지휘하여 결국 1975년에 월남을 공산통일 시켰던 월남의 영웅들이다. 1975년 이전에는 조국 대한민국도 연합군의 일원으로 파병하여 월남정글속에서 그들과 죽고 죽이는 전쟁을 했었다.
통일된 월남은 이들 3인방을 그들 조국의 영웅으로 추대하여 국민들이 존경하고 있다고 한다. 수상 "Pham Van Dong"은 2000년도에 노환으로 세상을 떴고, "Ho Chi Minh"은 월남의 통일을 끝내 보지 못하고 1969년도에 세상을 떴었다.
오늘 10월4일에 서거한 "Giap"장군은 오래전에 은퇴하여 조용히 여생을 보내다 역시 노환으로 별세 했다고 한다. 그의 나이 102세 였단다.
서방세계의 군사전문가들은 Giap을 평가 하기를 정글속에서 게릴라 전법을 사용하여 미국과 같은 강대국을 물리친 20세기의 가장 뛰어난 전술가라고 평하고 있다.
그는 1944년도에 젊은 농민 34명을 취합하여 하노이 북쪽의 정글에서 게릴라 조직을 만들어 외세와 싸우기 시작했는데, 이조직이 기본이 되여 "월남인민군대"를 조직하기에 이른다.
처음 군대를 조직했을때 무기라고는 리볼버 권총2자루, 경기관단총 1자루, 소총17자루,총알에 불꽃을 튀겨 발하는 재래식총 14자루이 전부였었다고 하는데, 그중의 오래된것은 1904-1905사이에 있었던 러-일 전쟁시 사용했던 무기들 용케도 구해 사용했었던 것이라고 한다.
1945년 세계2차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하게 되자 이들은 애국청년들을 중심이되여 5000명으로 구성된 군대형태를 갖춘다. 미국의 CIA 요원들이 뒤에서 이들 게릴라들에게 무기를 대주고, 당시 월남을 점령한 일본에 맞서 싸우게 하면서 미제무기로 무장 시켰던 것이다.
그는 수백만명의 월남군대를 지휘하면서 성능이 좋은 무기를 앞세워 월맹을 점령하려했던 외세와 맞서 싸우는 월남의 영웅으로, 특히 그는 정글속에서의 게릴라전, 테러, 스파이 잠입, 사보타지 등등의 전술에 능한 전술가였었다고 한다. 낯에는 농민으로, 밤에는 베트콩으로 변하게 하여 농민들 스스로가 그의 지휘를 받게하여, 부녀자들에게 까지 치마에 총알과 화약을 운반하게하는 게릴라 전의 명지휘자였었다.
월남인들은 그를 "Nui Lua"라고 호칭한다. 그뜻은 간단히 요약하면, "눈으로 뒤덮힌 부글부글 끓는 땅속의 화산"이라는 뜻이다. 그는 굉장히 차거운 성품이지만, 친구들에 대한 의리만큼은 아주 철저했다고 한다. 12세때 그는 학교에서 낙제를 해서 상급학교에 가는 기회를 잃을번 했었지만 다음해에 열심히 노력한결과 시험에 패스하여 Hue에 있는 고등학교에 다시 다닐수 있었다고 한다. 당시 월남을 지배하고 있던 불란서는 가능하면 월남인들의 교육받을 기회를 주지 않을려고 했었던것 같다. 그래야 이들을 쉽게 통치 할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미국의 군사 전략가들은 그를 독일의 장군 Erwin Rommel원수와 비교 했었다고 한다.
1946년 그의 첫째 부인이 죽은후, 그의 정신적 지도자이며, 은퇴한 교수의 딸, Dang Bich Hai와 결혼하여 두딸과 두아들을 두었다.
http://www.washingtonpost.com/local/obituaries/military-leader-vo-nguyen-giap-defeated-french-us-forces-in-vietnam-conflicts/2013/10/04/897ffff2-c5da-11df-94e1-c5afa35a9e59_story.html
"사람은 죽으면 이름을 남기고, 호랑이는 가죽을 남긴다" 라는 말이 새삼 회자된다.
우리 인간의 수명은 70에서 80세이다. 요즘은 생활환경이 향상되여 100세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는 뉴스가 자주 나온다. 그렇치만 자아가 발달되고 신체적으로 사회활동을 할수 있는성장기까지는 적어도 25년내지 30년이 걸린다. 나머지 약 40년이 실질적으로 삶의 현장에서 뛰는 시간이라고 정의해 본다.
40여년이라는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그시간 동안에 열심히 활동한 결과를 놓고 우리인간들은 평가를 하게된다. 어떤이는 영웅도 되고, 어떤이는 평생 우리사회에 해만 끼치고 떠난 악당이 되고, 극과 극을 이루는 그사이에서 대부분의 보통 사람들은 조용히 처해진 환경에서 열심히 활동하다 때가 되면 흔적없이 사라진다. 그리고 원래 태어난 곳으로 되돌아 갈때는 한평 크기의 속으로 , 모두가 그러듯이, 묻히고 만다.
그러나 영웅이고 악질적인 사악한 인간이든, 세상을 떠날때는 빈손으로 가고, 그로 부터 얼마동안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지만, 불과 몇년이 안가 그것 마져도 깊은 역사속으로 파묻힌다. 그다음 부터는 시험볼때 답안지에나 겨우 오르내릴 정도로 변한다.
영웅으로 칭송받는 사람들중에는 유산으로 큰 재산을 남긴분들도 많다. 허지만 거의 경제적 부를 축적하지않고, 정말로 나라와 국민들을 위해 평생 헌신하다 간 분들도 많다.
102세를 일기로 세상을 뜬 월남의 혁명가 3인중 하나인 "Giap"은 그전형적인 인물같다. 그들의 목적이었던 공산주의 통일을 이루기 까지는 철천지 원수인양 미국을 비롯한 연합군들과 목숨걸고 싸웠었다. 그리고 외세를 물리치고 월남의 자주독립을 이루었다. 전후 그는 국가개혁을 위해 헌신하여, 영웅으로 추앙받고 은퇴후에는 고향으로 돌아가 순박한 할아버지로 삶을 살았었다.
우리나라도 Giap장군보다 훨씬 더 어려운 여건속에서 풍전등화같은 조국을 구해낸 전쟁영웅들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P"장군은 구국의 영웅중의 영웅으로 떠받들어지고도 남을 인물이다. 그분은 지금 생의 마지막 시간들을 보내고 있지만, 국민들, 특히 정치꾼들의 뇌리에서 사라진지 오래다. 어느 버르장머리 없는 야당 정치꾼은 P장군을 근거도없는 자료를 들이대고 그의 명예에 먹칠하기에 여념이 없는 뉴스를 보면서, 그런자가 국민의 대표로 뽑혀 세금을 축내고 있다는 현실에 혀만 끌끌 찰수밖에 없었다.
그분이 미국에 가면 "전쟁영웅"으로 미국의 정치인들, veteran들로 부터 극진한 대접을 받는다. 이얼마나 서글픈 얘기인가. 이정도로 조국 대한민국은 사악한 사람들만 득실거리는 추잡한 국가로 추락한 원인이 무엇일까? Mausolium하나 건설해 놓을 꿈도 못꾸는 도덕상실의 나라가 되고 말았다. 그러니 온전한 조국의 역사관이 설정될수 있을까? 절대로 할수가 없다. 조국이 어려울때 국민들은 어디를 향해 기원하면서 조국의 안녕 질서를 부르짖을까? 허공에 대고 할수 밖에.....배만 부르면 만사성사된걸로 알고, 시궁창에 코를 박고 깊은 잠에 빠져드는 돼지같은 사람들이 사는 조국대한민국의 앞날이 걱정 스럽다. 역설적으로 경제건설을 하지 말고, 보릿고개를 넘기위해 누렇게 뜬 얼굴들을 하고 있는 그대로 놔 두었었어야 했다는 억지 가정까지 해 본다.
그렇게 철천지 원수처럼 싸우고, 지구가 존재하는한 서로 상종을 하지 않을것 같이 총구를 겨누었던 그민족들이, 그중에서도 미국과 조국 대한민국이 월남과 아주 친한 협력관계자가 되여, 언제 그랬냐는듯이 오손도손 손잡고, 보다 낳은 삶을 추구하기위해 열심히 서로 협조하고 있는 이웃으로 변하고, 그속에서 국민들은 보다 향상된 삶을 구가하고 있다.
이럴거였으면 왜 그렇게 수백만명의 젊은 꽃다운 청춘들의 목숨을 담보로 싸워야 했었나?
넓게 생각해 보면, 몇명의 정치적 leader들의 욕심과 명성을 위해 순진한 젊은이들을 마음데로 끌어다 소모품으로 사용한, 이념이 서로다른 정치꾼들의 야욕이 깊이 그속에 도사리고 있음을 뼈저리게 느낀다. 요즘도 세계지도를 펴보면, 아프리카, 파키스탄, 아프카니스탄, 애집트, 시리아, 한반도 등등의 지역에서 정치꾼들의 야욕을 채우기위해 젊은 목숨이 소모품으로 이용되고 있음을 수없이 본다.
남 북 월남이 공산정권휘하에 통일된 나라가 되기전, 그자신은 핵심구룹에서 밀려나 야전 사령관으로 좌천되여 밀림속에 있었기에 막상 남부 월남의 수도 사이공이 패배의 백기를 들었을때는, 그는 그축제의 중심에 있지못하고 멀리서 이를 지켜볼수 밖에 없었다. 그후 국방장관으로 복권되여 하나로 통합된 군병력의 수장으로 국가에 봉사를 했었다고 한다.
역사는 수레바퀴처럼 돌고 돈다. 앞으로 몇십년후에는 이들 천적과 같이 피흘려 싸웠던 사람들이 과거는 잊어 버린채 오손도손 좀더 낳은 삶의 질을 향해 같이 손꼭잡고 매진하는 그순간들이 올것임을 분명히 확언한다. 오늘 Giap의 죽음을 보면서 모두가 다 부질없는, 어리석은 인간들의 욕심이었음을 새삼 느끼게 된다. 이것이 월남전이 관련 당사국및 인류에게 보여준 결과이고 교훈이다. 영웅으로 떠받들어진 Giap도 빈손으로 우리곁을 떠났다. 그러나 다른것은 그는 오랫동안 월남인들의 기억속에 월남을 통일시켜, 경제적으로 풍부하게 살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 준 고마운 민족의 영웅으로 남아 있을 것이라는 점이 우리 조국 대한민국 사람들과는 다르다는 점이다.
Giap의 간추린 삶에 대한 얘기를 잠깐 언급해 본다.
오래전에 많이 들어 보았던 이름이다. "지압". 정글속에서 월맹군과 베트콩들에게 죽창과 밀림도끼등으로 월남전에 뛰어 들었던 미군과 연합군들을 물리친 통일된 월남에서는 영웅3인중 한사람이 바로 "지압"장군이다. 나머지 두사람은 우리가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Ho Chi Minh이고 그리고 후에 수상을 했던 Pham Van Dong이다.미군들이 월남전에 참전하기전에는 불란서가 월남을 지배했었고, 이들 3인방은 그때부터 외세를 월남 전역에서 몰아내기위해 정글속에서 베트콩과 월맹군을 지휘하여 결국 1975년에 월남을 공산통일 시켰던 월남의 영웅들이다. 1975년 이전에는 조국 대한민국도 연합군의 일원으로 파병하여 월남정글속에서 그들과 죽고 죽이는 전쟁을 했었다.
통일된 월남은 이들 3인방을 그들 조국의 영웅으로 추대하여 국민들이 존경하고 있다고 한다. 수상 "Pham Van Dong"은 2000년도에 노환으로 세상을 떴고, "Ho Chi Minh"은 월남의 통일을 끝내 보지 못하고 1969년도에 세상을 떴었다.
오늘 10월4일에 서거한 "Giap"장군은 오래전에 은퇴하여 조용히 여생을 보내다 역시 노환으로 별세 했다고 한다. 그의 나이 102세 였단다.
서방세계의 군사전문가들은 Giap을 평가 하기를 정글속에서 게릴라 전법을 사용하여 미국과 같은 강대국을 물리친 20세기의 가장 뛰어난 전술가라고 평하고 있다.
그는 1944년도에 젊은 농민 34명을 취합하여 하노이 북쪽의 정글에서 게릴라 조직을 만들어 외세와 싸우기 시작했는데, 이조직이 기본이 되여 "월남인민군대"를 조직하기에 이른다.
처음 군대를 조직했을때 무기라고는 리볼버 권총2자루, 경기관단총 1자루, 소총17자루,총알에 불꽃을 튀겨 발하는 재래식총 14자루이 전부였었다고 하는데, 그중의 오래된것은 1904-1905사이에 있었던 러-일 전쟁시 사용했던 무기들 용케도 구해 사용했었던 것이라고 한다.
Vo Nguyen Giap, the Vietnamese
military commander and national folk hero who organized the army that
defeated the French and then the Americans in 30 years of Southeast
Asian warfare, is dead. That war ended in 1975 when the last remaining
U.S. military forces evacuated Saigon, leaving behind a war-torn and
battle-scarred nation, united under Communist rule.
He died Oct. 4 in a hospital in Hanoi, a government official told the Associated Press. He was 102. No cause of death was immediately reported.
He died Oct. 4 in a hospital in Hanoi, a government official told the Associated Press. He was 102. No cause of death was immediately reported.
Gen. Giap was the last survivor in a triumvirate of revolutionary leaders who fought France’s colonial forces and then the United States to establish a Vietnam free of Western domination. With the Vietnamese Communist leader Ho Chi Minh, who died in 1969, and former prime minister Pham Van Dong, who died in 2000, Gen. Giap was venerated in his homeland as one of the founding fathers of his country. To military scholars around the world, he was one of the 20th century’s leading practitioners of modern revolutionary guerrilla warfare.
From a ragtag band of 34 men assembled in a forest in northern Vietnam in December 1944, Gen. Giap built the fighting unit that became the Vietnam People’s Army. At the beginning, its entire supply of weapons consisted of two revolvers, one light machine gun, 17 rifles and 14 flintlocks, some of them dating to the Russo-Japanese War of 1904-05, said Cecil B. Currey, Gen. Giap’s biographer.
For almost three decades, Gen. Giap led his army in battle against better-supplied, better-equipped and better-fed enemies. In 1954, he effectively ended more than 70 years of French colonial rule in Indochina, dealing a humiliating defeat to a French garrison in a 55-day siege of the mountain-ringed outpost at Dien Bien Phu. To millions of Vietnamese, this was more than a military victory. It was a moral and psychological triumph over a hated colonial oppressor, and it earned Gen. Giap the status of a national legend.
Twenty-one years later, on April 30, 1975, came the fall of Saigon, the capital of South Vietnam. This ended a prolonged and bitter war between Vietnamese communists, based in the north, and the U.S.-supported government of South Vietnam, which was based in Saigon and backed by the military might of the world’s greatest superpower.
In an internal power struggle three years earlier, Gen. Giap was replaced as field commander of the communist forces, and in 1975 he watched from the sidelines as the army he created and nurtured took the enemy capital. Nevertheless, 25 years later, he would recall the fall of Saigon as the “happiest moment in this short life of mine.”
With the capture of Saigon,
Vietnam was united under a single governmental authority for the first
time since its partition into North and South Vietnam after the 1954
French defeat. Gen. Giap was defense minister in the Communist
government that ruled the new Vietnam and a member of the powerful
politburo.
But it was as a military leader that he made his mark on history.
But it was as a military leader that he made his mark on history.
In the course of his career, Gen. Giap commanded millions of men in regular army units, supplemented by local militia and self-defense outfits in villages and hamlets throughout Vietnam. He journeyed to the remotest areas of his country on recruiting missions, and he learned the art of combat the old-fashioned way — by fighting.
He waged all manner of warfare: guerrilla raids, sabotage, espionage, terrorism and combat on the battlefield, and he involved as much of the civilian population in this effort as he could. Peasant women carried concealed arms, ammunition and supplies to hiding guerrilla soldiers. Children passed along information about troop movements through their villages. Everyone was a lookout for enemy aircraft.
To survive, he had to be flexible and adaptable, and he was. Facing an overpowering array of U.S. bombs and artillery, he employed a tactic that was sometimes likened to a boxer’s grabbing an opponent by the belt and drawing him too close for his punches to be effective. In close combat, the bombs and artillery shells of his enemy would be of limited use, but Gen. Giap’s men, operating in small units, could fight more effectively.
In the end, Gen. Giap would outlast his enemies. The French grew tired of paying the price of fighting him in Southeast Asia, and so did the United States, after 58,000 American deaths in a war that promised no more than a stalemate.
He said: “The United States imperialists want to fight quickly. To fight a protracted war is a big defeat for them. Their morale is lower than grass. . . . National liberation wars must allow some time — a long time. . . . The Americans didn’t understand that we had soldiers everywhere and that it was very hard to surprise us.”
To at least one U.S. military commander, this strategy was apparent even in the early years of American involvement in the hostilities. Marine Corps Gen. Victor Krulak, in a 1966 memorandum to President Lyndon B. Johnson and Defense Secretary Robert S. McNamara, wrote that Gen. Giap “was sure that if the cost in casualties and francs was high enough, the French would defeat themselves in Paris. He was right. It is likely that he feels the same about the USA.”
A master of military logistics and administration, Gen. Giap directed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the Ho Chi Minh Trail, down which a steady stream of men and arms flowed from North Vietnam to support the war in the South.
Vo Nguyen Giap was born Aug. 25, 1911, in the province of Quang Binh in an area of central Vietnam, which, with Laos and Cambodia, was then part of the French protectorate of Indochina. His native village of An Xa consisted primarily of straw and bamboo huts, alongside a few tile-roofed buildings. As a boy, he attended local public schools, where his teachers beat him with a thin bamboo stick whenever he faltered in his lessons.
At age 12, he failed the first examination that would have allowed him additional schooling. French colonial authorities discouraged advanced education throughout Indochina, knowing that an ignorant population would be easier to control. But the young Vo Nguyen Giap spent the next year in intensive study, and on his second try, he passed the exam that allowed him to attend secondary school in Hue.
There, in 1926, the future general read a book that would change his life and influence the history of Southeast Asia. Its title was “Colonialism on Trial,” written by Ho Chi Minh. Gen. Giap would recall years later that Ho’s book triggered in him an abiding hatred of the French, and it launched him on the revolutionary journey that would become his life’s work.
On his release, he won a scholarship for a school in Hanoi and received a baccalaureate degree in 1934. Later he taught history and French at a private school in Hanoi, and he was admitted to the French-managed University of Hanoi’s law school, where he received a doctorate in 1938.
Soon after Gen. Giap left for China, his wife was taken into custody by French authorities and held in a prison facility that would become known 30 years later in the United States as the “Hanoi Hilton,” where downed American fliers were held as prisoners of war. Quang Thai would die in prison, either by suicide or while being tortured. Since her arrest, their daughter had been cared for by Gen. Giap’s parents. But not until late in World War II did Gen. Giap learn of his wife’s death. In 1947, his father would also die while in French custody, refusing to publicly denounce his son, although he never agreed with his communist ideology.
“He carries in his soul wounds that even time cannot heal,” Hong Anh told Currey in a 1988 questionnaire, speaking of her father.
In the spring of 1941, Ho and Gen. Giap had returned to Vietnam from China. At a remote hamlet called Pac Bo, Ho convened a meeting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Vietnamese Communist Party and created the organization that would become known as the “Viet Minh,” to wage a war of independence against the French and the Japanese, who had occupied Vietnam after France fell to Nazi Germany early in World War II. Also to be eliminated were the Vietnamese “jackals” who collaborated with the enemy.
During the war years, Gen. Giap began traveling regularly to the hamlets and settlements of the Vietnamese countryside, laying the recruiting groundwork for the army he intended to raise. In July 1944, after the collapse of the Nazi collaborationist government of Vichy France, he wanted to launch an armed insurrection in Vietnam, but Ho vetoed the idea. The time was not ripe for open rebellion, he said.
But with the end of World War II
in 1945, it was possible to begin guerrilla operations against the
French, who returned to Vietnam expecting to reclaim their colony.
Throughout the late 1940s, Gen. Giap orchestrated hit-and-run
operations against French forces. His plan was to entice the enemy to
expend valuable energy in fruitless pursuit of an elusive quarry in
remote areas or tie him down in an unproductive or static position. “Use
the feint, the ambush, the diversionary outrage,” he wrote in a
training manual adapted from the Chinese Communist leader Mao Zedong.
“The enemy may outnumber you ten to one strategically, but if you compel
him to disperse his forces widely, you may outnumber him ten to one
locally wherever you choose to attack him.”
His army suffered heavy casualties in the Red River offensive against the French in 1951, but the Viet Minh regrouped and vanquished the French at Dien Bien Phu in 1954. Just a month before that siege ended, top French military officials traveled to Washington, hoping for a pledge of U.S. assistance. There, on April 7, 1954, President Dwight D. Eisenhower declared: “You have a row of dominoes set up and you knock over the first one, and what will happen to the last one is the certainty that it will go over very quickly. . . . The loss of Indochina will cause the fall of Southeast Asia like a set of dominoes.”
At the Geneva Conference that followed the Battle of Dien Bien Phu, Vietnam was divided into two countries: north and south. In the north, the Communist Party ruled under the leadership of Ho. With the French colonialists out of the picture, an ambitious land-reform program was undertaken, for which Gen. Giap would later apologize. “[W]e . . . executed too many honest people . . . and, seeing enemies everywhere, resorted to terror, which became far too widespread. . . . Worse still, torture came to be regarded as a normal practice,” he was quoted as having said by Neil Sheehan in his Pulitzer-winning 1988 book, “A Bright Shining Lie.”
In the south, the United States replaced France as the major foreign influence. CIA operatives worked to blunt communist initiatives, and by the early 1960s, U.S. soldiers began arriving as “advisers” to the Army of the Republic of Vietnam. Men and supplies flowed southward from Hanoi, and indigenous guerrilla units throughout South Vietnam began raiding government troops and installations. The United States increased its level of support, which by 1968 had reached 500,000 military personnel.
Arguably, the turning point of the war came during the 1968 Tet Offensive, which was orchestrated by Gen. Giap. To launch this campaign, he had directed the movement of 100,000 men and tons of supplies to strategic points throughout South Vietnam. On Jan. 30, communist forces attacked 40 provincial capitals and major cities, including an unsuccessful but widely publicized assault on the U.S. Embassy in Saigon. The offensive failed militarily, Gen. Giap’s forces suffered heavy casualties and a hoped-for civilian uprising against the U.S.-backed government of South Vietnam did not happen.
But politically, the offensive was devastating in the United States, where it shattered public confidence in U.S. policy and led Johnson to decide against seeking reelection as president.
In the next four years, Gen. Giap orchestrated guerrilla raids by small units against South Vietnamese and U.S. forces. In the spring of 1972, he was relieved of his command after his Easter offensive failed in the face of massive U.S. attacks, which included the bombing of North Vietnam and the mining of Haiphong Harbor. Viet Cong and North Vietnamese losses were said to have included more than 100,000 fatalities. Gen. Giap retained his position as defense minister, but command of the Vietnam People’s Army passed to longtime disciple Van Tien Dung.
U.S. involvement in the war officially ended in January 1973 with the signing of peace accords and the withdrawal of American military forces. Without U.S. support, the South Vietnamese military collapsed in two years.
“American soldiers were just like any others,” Gen. Giap said years later in response to a question from a former U.S. service member. “When led well, they fought well.” Rarely, if ever, did the general comment publicly on the millions of Vietnamese boat people who fled the country after the communist takeover or the stagnation of the economy under Communist Party leadership.
After 1975, Gen. Giap faded from the public scene. He resigned as defense minister in 1980 and was dropped from the politburo in 1982. He continued to lead ceremonial functions and lived in comfort in a government-assigned villa in Hanoi. In 1992, he was awarded Vietnam’s highest honor, the Gold Star Order, for contributions to “the revolutionary cause of party and nation.”
In 1946, after the death of his first wife, Gen. Giap married Dang Bich Hai, the daughter of a former professor and mentor. They had two daughters, Vo Hua Binh and Vo Hahn Phuc, and two sons, Vo Dien Bien and Vo Hoai Nam.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