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은 그간 “국민이 신뢰할 수 있도록 신고 사례에 대해 더 소상하게 조사하고 정보를 투명하게 알려드리겠다”고 했지만, 실상은 반대였던 셈이다. 이와 관련 질병청 고위 관계자는 “주요 사인이 혈전이 아니라고 판단됐던 데다, 공식적인 최종 부검 결과가 나온 뒤 알릴 예정이었다”고 했다. 하지만 유럽에선 혈전 의심 사례를 통해 예방적 조치까지 취해왔기 때문에 우리 방역 당국의 대응이 적절했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백종헌 의원은 “혈전이 의심되는 소견을 보였다면 그 내용을 국민에게 소상히 설명한 뒤 인과관계 여부에 대해서도 투명하게 밝혔어야 한다”며 “질병청이 AZ 백신 신뢰성만 손상시켰다”고 말했다.

◇”혈전 사망자, 백신과는 무관”



다만 방역 당국은 AZ 백신 접종 뒤 사망한 60대 여성과 관련, 예방접종으로 혈전이 발생해 사망한 것은 아니라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백신 접종이 사망 원인이 아니라는 것이다. 김중곤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장은 17일 브리핑에서 “(혈전 소견 사망자는) 장기간 기저질환이 있는 분이고, 의무 기록상 다른 사망 원인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이 있어서 예방접종보다는 다른 원인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며 “백신과의 인과관계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고 말했다.

김 반장은 또 “사망 당시 진료했던 의료진의 사인 판단은 흡인성 폐렴이었다. 호흡기 계통 문제로 사망했다고 본 것”이라고 했다. 부검 소견에서 혈전이 발견된 것은 맞지만, 이로 인해 사망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아울러 혈전은 백신 접종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비행기를 오래 탔을 경우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인구 10만명당 100명 정도 수준으로 생길 수 있다고 방역 당국은 설명했다. 정 청장은 이날 국회에서 AZ 백신 안전성을 묻자 “AZ 백신 맞으셔도 된다”고 했다. 질병청은 지난 16일 “AZ 백신 접종 중단도 하나의 선택지로 검토 대상은 된다”고 했지만 이날 “접종을 계속하겠다”며 하루 만에 번복했다.